창작레지던시(도자)
Pottery
내부 (평면도)
Interior Appearance (Floor plans)
1
2
3
1
창작레지던시(도자)는 쉴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해요. 흙먼지가 날리니까 천 소재가 아닌 딱딱한 의자에서만 작업을 하는데, 딱딱한 의자에 오래 앉아 있으니까 쉴 때는 편한 의자가 필요해요. 특히 저는 하루 평균 10시간 정도 작업하니까요. 최근 무중력 의자를 5만원에 샀는데, 5만원의 행복이라고, 제일 잘한 소비예요.
2
겨울엔 춥고 여름은 덥고 습해요. 여기서 중앙난방으로 틀어주는 에어컨이 밤 10시에는 끊겨요. 상인분들이 추우면 상인분들이 전화해서 끄세요. 왜냐하면 전기세는 저희는 안 내고 상인분들이 내시니까. 우리가 너무 더워서 켜면 상인 분들이 안 덥다고 하면서 끄죠. 상인분들하고 상생하는 구조니까, 에어컨 같은 것도 현실적으로 다가와요.
3
여기가 지하잖아요. 너무 머리가 아픈 거예요. 그래서 공기청정기를 사봤어요. 그랬더니 좀 덜 아픈 거예요. 필터가 몇 달짜리인데 한 달이면 갈아야 해요. 위에가 바로 족발집이거든요. 여기 냄새 엄청 나요. 저 원래 족발 좋아하는데 이제 못 먹어요.
주변 동선
Moving Route
1
화장실이 되게 멀어요. 체감상 한 3분은 걸리는 것 같아요. 끝과 끝이라 킥보드를 살까 고민도 했어요. 화장실이 머니까 원래 물을 많이 마시는 편인데 자연스럽게 많이 안 마시게 되었어요. 중간쯤에 화장실이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한 50m 정도.
2
창작레지던시(도자) 특성상 가마를 이용해야하기 때문에 작업물을 가지고 공동 작업장으로 이동해요. 많이 멀기 때문에 작업물들을 한꺼번에 몰아서 가져가요.
3
다른 작가님들이랑 같이 밥을 먹을 때는 라운지에 가서 쾌적하게 먹어요.
관계도
Relationship Map
밀접한 친분 관계
가벼운 친분 관계
서비스 제공
동료 관계
1
창작공간 내 작가들은 대부분 알음알음 아는 경우도 있고, 학교를 함께 다녔던 경우도 있다. 혹은 창작공간 내에서 협업 전시를 열면서 친해지게 되는 경우도 있다. 나와 다른 분야의 작가를 만나면서 도움을 받거나 아이디어를 얻는 경우도 있다.
2
중간지원조직은 창작공간을 운영하고 입주한 작가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공모전, 전시, 지원사업 등과 관련된 정보를 작가들에게 안내하기도 하고 서류를 꼼꼼히 검토해 주기도 하여 이 창작공간의 가장 큰 메리트라고도 할 수 있다.
3
작가들이 밤늦게 작업하는 경우가 많은데 경비원이 보안을 잘해주어 안심하고 밤에도 이곳에서 머물 수 있다. 고마운 마음에 더 크게 인사하곤 한다.
4
함께 공간을 쓰기는 하지만 친밀도는 매우 낮다. 특히 아케이드의 전기세를 상인들이 감당하는 구조라 작가들의 냉난방이 보장되지 않고 있다.
5
종종 행인이 화장실의 위치를 물어보곤 한다. 밤에 술 취한 행인이 걸어갈 때면 조금 무섭기도 하다.
작업자 소개
About the worker
학교에서 작업을 이어오다 최근 이곳으로 작업실을 구해 들어오게 되었다. 창작레지던시(도자) 작업 특성상 흙이 늘 작업실에 있는데, 지금 사용 중인 작업실은 두 구획으로 나뉘어 있어 흙이 있는 곳과 없는 곳이 구분이 되어 만족스럽다. 다만 전기세를 모두 상인들이 내다 보니 아무리 더워도 마음대로 냉방을 할 수 없어 여름에 매우 힘들다. 또 화장실이 한쪽 끝에 있어 최대한 물을 마시지 않고 작업을 한다.